(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driving apparatus using motion of a smartphone body. Various kinds of expensive sensors are embedded in a smartphone used by people. When the smartphone having such high-performance sensor embedded therein is used as a driving apparatus instead of a joystick, a wheelchair is easily and conveniently driven. Moreover, motion of the smartphone body is understood through the sensors embedded in the smartphone. A user directs a driving direction, such as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heelchair through three-dimensional (3D) motion of the smartphone body placed in a 3D space, and operates the magnitude of a driving speed and a horizontal rotation direction through the dimension of a rotational angle to easily drive the wheelchair while comfortably sitting on the wheelchair. When the user has difficulty in using the joystick, wants to drive the distant wheelchair, and a protector wants to drive the wheelchair instead of the wheelchair user, the wheelchair is easily and conveniently driven through the motion of the smartphone body. In particular, wheelchair driving by the smartphone body is used as a purpose to support wheelchair driving by the joystick when the joystick is mounted on the wheelchair, thereby being able to maximally secure stability in use. COPYRIGHT KIPO 2018
(KO)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에는 고가의 각종 센서들이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고성능 센서들이 내장된 스마트폰을 조이스틱 대신에 운전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면 매우 손쉽고 편안하게 휠체어를 운전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폰에 내장된 센서들을 통하여 스마트폰 몸체의 움직임을 알 수 있다. 3차원 공간속에 있는 스마트폰 몸체의 3차원 움직임을 통하여 휠체어의 전후진, 좌우향 등의 운전방향을 지시할 수 있고, 회전 각도의 크기를 통하여 운전속도의 크기와 좌우향 회전방향의 크기를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는 휠체어에 편안히 앉아서 휠체어를 손쉽게 운전할 수 있다. 조이스틱의 사용이 어려운 경우나 떨어져 있는 휠체어를 운전하고자 할 때, 또 보호자가 휠체어 사용자 대신에 휠체어를 운전하려고 할 때, 스마트폰 몸체의 움직임을 통해서 휠체어를 매우 손쉽고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다.
특히 휠체어에 조이스틱 장치가 장착되어 있을 때 스마트폰 몸체에 의한 휠체어 운전은 조이스틱 장치에 의한 휠체어 운전을 보조하는 용도로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